
2025년 8월,
대한민국 정치권은 뜨겁고도 무거운 이슈로 가득합니다.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이 취임 이후 최저치로 내려앉았다는 소식이 전해진 그날, 광복절 특별사면 명단에 조국 전 대표와 윤미향 전 의원이 포함됐다는 발표가 이어졌습니다.
두 사건은 전혀 다른 배경을 가진 듯 보이지만, 같은 시기에 터져 나와 정치권과 사회 전반에 커다란 파장을 일으켰습니다.
국민들은 차가운 수치와 뜨거운 논란을 동시에 마주하며, 정치와 민심 사이의 간극을 다시금 느끼고 있습니다.
1.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56.5%…취임 이후 최저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8월 4일부터 8일까지 전국 18세 이상 2,50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수행 긍정 평가는 56.5%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직전 조사 대비 6.8%포인트 하락한 수치이자 취임 이후 최저 기록입니다.
부정 평가는 38.2%, ‘잘 모름’은 5.2%였습니다.
정당 지지도는 더불어민주당이 48.4%로 7주 만에 50% 선 아래로 내려갔고, 국민의힘은 30.3%로 6주 만에 30%대를 회복했습니다.
정의당은 2.0%, 개혁신당은 1.6%를 기록했습니다.
지역별로는 대구·경북에서 18.0%포인트, 부산·울산·경남에서 17.4%포인트가 하락하며 영남권 지지율이 크게 떨어졌습니다.
연령별로는 70대 이상에서 12.9%포인트, 50대에서 8.6%포인트, 20대에서 6.9%포인트, 40대에서 6.5%포인트, 30대에서 3.8%포인트가 각각 하락했습니다.
리얼미터는 이번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주 초반의 주식 양도세 논란과 이춘석 의원의 차명 주식 의혹, 그리고 주 후반의 광복절 사면 논란을 지목했습니다.
경제·정치 현안이 동시에 부각되며 보수층뿐 아니라 일부 핵심 지지층까지 이탈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2. 하루 앞당겨진 임시 국무회의…광복절 특별사면 확정
이재명 대통령은 당초 8월 12일로 예정된 국무회의를 하루 앞당겨, 8월 11일 오후 2시 30분에 원포인트 임시 국무회의를 개최했습니다.
비공개로 진행된 이날 회의의 핵심 안건은 광복절 특별사면 및 복권, 감형이었습니다.
사면심사위원회가 확정해 올린 명단에는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 그의 부인 정경심 전 교수, 최강욱 전 의원, 윤미향 전 의원, 조희연 전 서울시교육감 등이 포함됐습니다.
야권 인사로는 정찬민 전 의원과 홍문종 전 의원이 거론되었습니다.
대통령실은 “정치적 갈등을 조기에 정리하고 국정 과제에 집중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국민의힘을 비롯한 야권은 “파렴치범에 대한 면죄부”라며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국민의힘 정광재 대변인은 “국민이 허탈해하고 있다”며 “국무회의 생중계를 통해 누가 어떤 이유로 사면에 찬성했는지 국민이 알아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한편, 더불어민주당 내부에서는 강득구, 고민정, 추미애 의원 등이 “정치적 치유와 통합의 메시지”라며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발언을 내놓았습니다.
여론은 찬반이 뚜렷하게 갈렸습니다.
일부 국민은 “정치적 피해자 회복”이라는 긍정적 시각을, 또 다른 일부는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 결정”이라는 부정적 의견을 표했습니다.
3. 두 사건이 남긴 정치적 함의
지지율 최저와 광복절 사면 논란은 각각 다른 경로를 통해 발생했지만, 시기적으로 겹치면서 정치권에 복합적인 파장을 불러왔습니다.
지지율 하락은 대통령과 집권 여당의 정치적 부담을 크게 늘렸고, 사면 결정은 정치적 도덕성과 통합의 가치 사이에서 첨예한 논쟁을 촉발했습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이번 상황이 단순한 일시적 변동이 아니라, 향후 정치 지형과 여론의 향방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무엇보다도 국민이 정치에 바라는 것은 ‘공감’과 ‘신뢰’라는 점에서, 두 사건이 남긴 숙제는 무겁습니다.
2025년 8월의 정국은 국민에게 중요한 질문을 던졌습니다.
“정치는 국민의 목소리를 제대로 듣고 있는가?” 지지율 최저라는 수치와 사면 논란이라는 결정은, 그 답을 찾기 위해 정치권이 반드시 마주해야 할 현실입니다.
향후의 정책과 행보가 이 질문에 대한 응답이 될 것입니다.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치] “사랑도 명예도 사라졌다” – 김건희 여사 구속, 전직 대통령 부부 첫 동시 수감의 파장 (10) | 2025.08.13 |
---|---|
[경제] 아파트보다 현실적인 선택, 대형 오피스텔과 공시지가 상승이 말해주는 투자 신호 (4) | 2025.08.12 |
[경제] 0.6%의 반등, 2025년 2분기 한국 경제가 되살아나다 — 1분기 비교와 정부별 정책 차이까지 (7) | 2025.08.09 |
[경제] 코스피 급락, 세금 개편이 불러온 증시 대혼란 (7) | 2025.08.08 |
[정치] 대한민국의 분수령, 3대 특검 수사와 사법개혁 총정리 (13) | 2025.08.07 |